[공통] 기술평가 포인트 | [공통] 감점 포인트 |
1. 높은 포지션에 의한 오버·언더 크로스 믹스 동작의 효율성 높은 턴 :경사와 스피드에 맞는 교차운동 2. 턴의 전환 시 탑으로의 중심이동을 통한 컨트롤 및 스키 전체(탑에서 테일)에 압력 진행을 전달하는 움직임: 적극적인 중심이동 3. 턴 컨트롤을 카빙으로 움직이며 상·하체의 퍼포먼스를 다이나믹하고, 효율성 높은 움직임으로 연결 : 효율적인 회전자세(알파인 베이직 포지션) 4. 큰 관절의 움직임에 의한 큰 각을 만들고, 작은 관절 각의 움직임에 의한 세밀하고 효율성 높은 스티어링을 만들어 진행. 5. 직선적인 활주 6. 깊은 발목, 정강이 각도 |
1. 턴 전환 시 하중점이 테일 쪽에 있고, 턴의 대부분 하중점이 테일에 있다. -1점 ~ -3점 2. 활주 중 넘어지는 경우 1점~7점 감점 처리한다.(넘어지기 전과 후의 활주 점수에 대한 감점처리) - 가볍게 밀림 -1점 - 밀리며 엉덩이 슬로프 터치 -2점 - 상단에서 넘어지면서 신체 슬라이딩(5m~10m : -3점) (11m~20m : -4점 ~ -5점) - 넘어져 시간 지연 -5 - 넘어져 신체 슬라이딩되고 시간 지연 -7 3. 지연 출발 -1점 4. 무전기 사용 및 송·수신기기 소지 실격처리 * 각 배점범위내에서 감점점수를 반영하여 최종점수 적용 |
▣ 기술 : 1. 롱턴 (progressive / Carving Long Turns) □ 목표 : 빠른 스피드로 다이나믹한 움직임으로 카빙 롱턴 구사하기 |
[배점범위] 초등학년부 : 90~95점이상 ║ 미취학부 : 85점~89점 |
수행준거 | 감점요소 | 가점 |
(1) 체중이 스키 중심 위치에 유지, 체인지 구간에서 하중을 주기 위한 높은 포지션을 만들기 위해 오버·언더크로스 동작을 믹스한 움직임, 어느 방향으로도 움직일 수 있는 모든 준비가 되어있는 자세 | * 전적으로 언더 크로스 동작으로 스킹을 하고 뒤로 앉은 자세 | 자기스타일 |
(2) 효율성 높은 스탠스로 스키의 사이드 컷 만을 이용하여 리버스 캠버를 만들어 적극적으로 활주 | * 스키딩 | 개인기량 |
(3) 턴의 시작 때 마다 신체 움직임 |
* 턴의 앞, 안쪽으로 몸을 보내는 움직임이 없을 시 * 앞, 안쪽으로 몸을 보내는 과정에서 다음 턴의 바깥쪽 팔이 위로 올라가는 동작 |
개인기량 |
(4) 턴 시작 때마다 스키 팁(Tip)을 아래로 내려서 시작 | * 턴 시작 때마다 스키의 팁(Tip) 에지를 사용하지 못할 시 | 개인기량 |
(5) 폴 플랜트는 상황에 맞게 체크하거나 터치하는 제스처(Gesture) | * 폴 플랜트 제스처 미수행 | 개인기량 |
(6) 폴라인 이전부터 형성된 스키의 강한 리바운드를 이용하는 기술 | * 스키의 리바운드를 이용하지 못하는 턴 | 개인기량 |
(7) 고속 턴에 의해 스키 에지의 더 큰 각도와 기울기를 만드는 기술 | * 활주 시 에지 각과 기울기를 사용하지 못할 시 | 개인기량 |
(8) 턴의 바깥쪽 스키가 주로 리드하는지, 안쪽 스키와 바깥쪽 스키 에지의 동일한 각을 유지 조종 |
* 안쪽 스키의 조종을 하지 못하여 하체 포지션이 K다리 형태 * 체중이 지나치게 바깥쪽에 집중해서 실려 라인의 밀린 현상, 안쪽 스키에 과체중 시 |
개인기량 |
(9) 스키에 지속적으로 압력을 주며 카빙을 구사하는 기술 | * 원심력에 의한 지속적인 가압을 하지 못할 시 | 개인기량 |
(10) 턴을 하는 동안 지속적인 앞, 뒤 하체의 움직임 여부 | * 활주하는 동안 하체의 앞, 뒤 움직임이 없을 시 | 개인기량 |
(11) 선회(Steering) : 양쪽 턴 크기가 같은지, 그리고 둥근 원호를 그리며 카빙으로 활주 여부 |
* 턴의 양쪽 크기가 같지 않을 시 * 고속 턴에 의해 턴 후반부에 턴 라인 이탈 시 |
개인기량 |
(12) 조화(Timing and Coordination) : 안정된 신체 포지션으로 하중 이동시 높은 포지션을 통해 축을 만들고 턴 전체를 리드미컬하게 고속으로 활주 | * 턴 전체 또는 하나의 턴에서 투 턴동작을 하여 턴의 흐름이 끊길 시 | 개인기량 |
▣ 기술 : 2. 숏턴(Short Turns) □ 목표 : 고속으로 생동감 있는 카빙 숏턴 구사하기 |
[배점범위] 초등학년부 : 90~95점이상 ║ 미취학부 : 85점~89점 |
수행준거 | 감점요소 | 가점 |
(1) 체중이 스키 중심 위치에 유지, 체인지 구간에서 하중을 주기 위한 높은 포지션을 만들기 위해 오버·언더크로스 동작을 믹스한 움직임, 어느 방향으로도 움직일 수 있는 모든 준비가 되어있는 자세 | * 전적으로 언더 크로스 동작으로 스킹을 하고 뒤로 앉은 자세 | 자기스타일 |
(2) 방향전환 시 신체의 움직임, 하체 포지션으로 스키 사이드 컷과 탄성을 이용한 생동감 있는 턴 기술 | * 신체의 움직임이 보이지 않을 시 | 개인기량 |
(3) 자기만의 폴 플랜트 기법으로 타이밍 맞추는 기술 | * 타이밍 오류 | 개인기량 |
(4) 턴의 리바운드를 이용하여 다음 턴으로 연결하는 기술 | * 턴 연결 시 스키의 과도한 리바운딩 현상과 균형 상실 | 개인기량 |
(5) 스키의 팁(Tip)을 이용하여 빠르고 정확하게 스키에 가압을 주는 기술 | * 스키의 앞 에지를 사용 못하지 못하거나 타이밍 부조화 시 | 개인기량 |
(6) 활주 시 지속적인 하체의 전, 후 움직임 | * 하체움직임 없을 시 | 개인기량 |
(7) 양쪽 스키의 에지 각이 거의 같은 각으로 유지 | * K 다리의 하체 포지션 | 개인기량 |
(8) 선회(Steering) : 양쪽 턴 크기가 같은 둥근 원호를 그리며 활주하는 기술 | * 턴의 양쪽 크기가 같지 않을 시 | 개인기량 |
(9) 조화(Timing and Coordination) : 안정된 신체 포지션으로 하중 이동시 높은 포지션을 통해 축을 만들고 턴 전체를 리드미컬하게 고속으로 활주 | * 중심이 뒤로 빠진 낮은자세로 턴 전체의 리듬 부조화 | 개인기량 |
▣ 기술 : 3. 종합활강(Combination Turns) □ 목표 : 서로 다른 턴 크기의 리듬 변화에 자연스럽게 연결하여 활주하기 |
[배점범위] 초등학년부 : 90~95점이상 |
수행준거 | 감점요소 | 가점 |
(1) 턴의 구조 : 롱턴과 숏턴, 미들턴을 혼합하여 리듬 체인지 하며 활주하는 기술 | * 리듬 변화 시 턴의 부자연스러운 연결동작 | 개인기량 |
(2) 각각의 턴 스타일에 맞게 혼합된 신체 움직임을 보여주는 기술 | * 각 기술에서 요구되는 턴 크기에 맞는 움직임과 포지션을 수행하지 못할 시 | 개인기량 |
(3) 스탠스(Stance) : 하체 스탠스는 효율성 높은 턴을 구사하는데 필요한 폭을 만들어 활주 | * K 다리의 하체 포지션 | 개인기량 |
(4) 움직임(Movement) : 활주 시 하체의 앞, 뒤 움직임을 하는 기술 | * 활주 시 턴의 앞, 뒤 움직임이 없을 시 | 개인기량 |
(5) 폴 플랜트(Pole Plant) : 개인 기량에 맞는 폴 플랜트 기술 | * 폴 플랜트 모션이 보이지 않거나 타이밍이 부조화 | 개인기량 |
(6) 선회(Steering) : 양쪽 턴 크기가 같은 둥근 원호를 그리며 활주하는 기술 |
* 턴의 양쪽 크기가 같지 않을 시 * 각 기술에서 요구되는 턴의 크기가 불분명할 시 |
개인기량 |
(7) 조화(Timing and Coordination) : 개인 기량에 따라 턴 스타일을 구현할 때 턴의 자연스러운 연결과 전체적인 조화를 잘 이루는 기술. | * 턴 전체 구성 흐름이 부자연스럽거나 리듬이 끊길 시 | 개인기량 |
(8) 속도(Speed) : 고속계열 | * 일정한 속도와 함께 리드미컬한 움직임 및 스피드 컨트롤을 하지 못할 시 | 개인기량 |
종목개요 | 배점범위 | 비고 |
종목1. 규제턴 : 가이드 포인트를 세팅하여 턴과 턴 사이의 폭을 규정하여 활주 * 가이드 포인트에서 최대한 큰 호 그리며 내려온 스키어에게 기술점수와 더불어 높은 점수가 주어짐 |
80~82 : 스노우플라우턴 81~83 : 스템턴=슈템턴 82~84 : 패러렐=베이직롱턴 |
개인기량 |
종목2. 프리턴 : 턴 사이즈를 규정하지 않고 활주하여 기술점수만 부여 | 개인기량 | |
[기타사항] * 신인부는 최초1회 참가를 원칙 / 그룹을 나누어 진행하지는 않지만 심사 시 종목에 대한 기준으로 점수가 주어짐 |
▣ 프리턴 및 규제턴 □ 목표 : 가이드 포인트 내 최대한 큰 호를 그리며 활주, 안정된 리듬의 변화 |
배점범위 : 각 기술별 배점 범위 명시 |
기술 | 수행준거 및 감점요소 | 비고 |
1. 스노우플라우턴 : 80-82점 |
* 센터포지션 / 정확한 중심이동 / :좌,우의 체중이동 * 다운의 시작점을 경사와 스피드에 맞추어 진행하는지 체크 * 다운하는 구간에서의 발목과 무릎의 움직임인 피보팅과 하중전달 * 경사와 스피드에 맞는 외향경 자세로 바깥발에 하중유지하여 턴을 마무리 |
|
2. 스템턴: 81-83점 |
* 업과 동시에 A자를 만들어 중심이동 (테일을 들어서 표현 시 +a, 테일을 밀어서 표현 시 후경일 경우 감점) * 좌,우의 체중이동 : 턴의 안으로 기대어 지지 않아야 함 (상체에 의한 턴 감점) * 폴라인까지 A자 모양을 보여 준 다음 폴라인 이후 서서히 안쪽 아웃에지로 눈을 긁어 모아지는 형태로 11자 스탠스로의 변화 * 11자 스탠스로 경사와 스피드에 맞는 외향경 포지션으로 턴을 마무리 |
|
3. 베이직 롱턴: 82-84점 |
* 업과 동시에 폴체킹이 준비되어지는 체크 폴체킹 시 상체 밸런스가 열리거나 뒤로 빠지면 감점 요인 * 정확한 폴체팅 타이밍 : UP동작 내에서 준비하여 수직정점에서 체킹 * 경사와 스피드에 맞는 중심이동 (버티컬 무브먼트 앞쪽, 턴의 진행방향으로의 중심이동) * 좌,우의 체중이동 : 턴의 안으로 기대어 지지 않아야 함 (상체에 의한 턴 감점) * 경사와 스피드에 맞는 발목과 무릎의 회전력, 다운에 의한 하중전달 * 다운하는 무브먼트(운동성) * 다운을 유지하며 턴을 마무리(경사에 맞는 외향경 자세) |